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이야기63

좋은 ETF를 고르는 기준이 있을까? 좋은 etf가 있을까요? etf는 주식과 달리 높이 올라간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닙니다. 목표한 대로 잘 따라가 주는 etf가 좋은 etf입니다. 우리가 접하는 모든 etf는 특별한 목표치인 기초지수를 따라가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etf를 인덱스 etf라고 하는데요 인덱스 etf이기 때문에 잘 따라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는 etf를 찾는 방법은 뭘까요? 높을수록 좋은 세가지 순자산 거래량 수익률이 있고 낮을수록 좋은 세가지 괴리율 추적오차 보수가 있습니다. 1. 순자산 주식에서 시가총액을 보듯 etf에서도 시가총액을 의미하는 순자산이 있습니다. 순자산은 높을수록 맘이 편합니다. 주식에서 시총이 큰 회사에 투자하면 맘 편하듯이 말입니다. 만약에 비슷한 etf를 두 개를 .. 2021. 12. 1.
주식투자로 돈을 못버는 사람들의 5가지 실수 첫 번째, 내가 잘 모르는 건 왠지 대박처럼 느껴진다. 우리가 흔히 하는 실수중에 가장 큰 실수가 술자리에서 '너만 알고 있어'라든가 '이건 아무도 알려지지 않은 정보야'라며 찍어주는 종목이 최고라고 느끼는 겁니다. 이건 매우 위험한 겁니다. 무슨 회사 인지도 모르는 채로 관리종목에 우리가 돈을 넣는 건 이건 매우 경계해야 할 일입니다. 그리고 내 귀에 들어왔을 땐 이미 끝난 종목일 경우가 많으니 절대 술자리에서 들은 종목 사면 위험합니다. 흔히 투자하는 사람들에게 평생에 세 번의 기회가 온다고 하는데 이 세번의 기회는 이렇게 찾아오지 않는다는 걸 명심합시다. 두 번째, 장기투자가 3개월이다. 성질 급한 한국인들의 특성상 장기투자는 많이 어렵죠? 그런데 투자의 경험이 없는 사람일수록 투자 기간이 짧은 경.. 2021. 11. 22.
CMA통장을 아시나요? 자산관리계좌 통장이라는 CMA(cash mangement account) 통장이 있습니다. 이 CMA통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시다. CMA는 증권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수시입출금 계좌입니다. 우리가 은행거래를 시작하면 우선 계좌를 하나를 만들고 거래를 시작하잖아요 중심이 되는 계좌를 하나 터놓고 거기서 월급도 받고 송금도 하고 카드결제도 하고 남은 거는 예금도 하고 적금도 하고 그렇습니다. 이렇게 은행의 계좌와 같은 것이 증권사의 CMA통장이라고 합니다. 증권사의 고객수만큼 CMA 계좌가 있습니다. CMA는 이렇듯 증권투자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CMA는 이름에서 말하듯이 현금 관리계좌라는 말입니다. 현금도 관리가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안전하게 넣어두는것도 관리이고 필요에 따라 입금하고 출금하는 것도 관.. 2021. 11. 21.
연금저축은 행복한 노후를 위한 첫걸음입니다. 연금저축계좌는 대한민국의 사람이라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 하고 있는 사업이 잘되고 있으면 노후는 보장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주식 단타 치면 돈 잘 버는데 노후가 무슨 걱정이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사람일은 모르는 거잖아요 그렇지만 연금저축계좌를 만들어두고 거기에 돈을 넣어두면 확실한 노후준비가 됩니다. 누군가는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만큼 살아가면서 필요한 게 돈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앞으로 백세 인생에서 삼분의 일을 노인으로 살면서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정말 큰일입니다. 우리는 노후준비를 얼마나 하고 있을까요? 통계에 따르면 노인의 최저생활비를 200만 원으로 맞추는 걸 봤습니다. 국가에서 강제로 국민연금을 준비해주고 회사에서 퇴.. 2021. 11. 20.
반응형